절기란 무엇일까요?
절기는 태양년을 태양의 황경에 따라 24 등분한 기후의 표준점입니다. 황경이란 태양이 춘분에 지나는 점을 기점으로 하여 황도에 따라 움직인 각도를 말하며, 황경이 0도 일 때를 춘분으로 하여 15도마다 절기로 구분합니다.
태음력이 이미 있었음에도태양력을 보조적으로 사용했던 이유는, 계절에 따른 날씨의 변화를 쉽게 알기 어려운 괴리감이 있었던 문제점 때문이었습니다. 태음력은 달의 모양을 통해 날짜를 바로 알기는 쉬우나 계절의 변화를 쉽게 알기가 어려웠고 농경사회였던 동아시아권에서는 이를 보완할 필요성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계절의 변화를 잘 알 수 있도록 황도에 기준한 절기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보통 동아시아권에서 쓰인 역법은 태음력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지만 24 절기를 부속 단위로 사용했기 때문에 엄밀히 따지면 태음태양력으로 불러야 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시대 무렵부터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는데요, 사실 조선시대 이전에는 음력을 중심으로 사용하였습니다. 그런데 음력은 기후와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음력 달력만으로는 농사를 짓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양력의 요소를 도입한 것이 24 절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24 절기는 음력이 아닌 양력과 잘 맞습니다.(참조:나무위키)
1. 봄의 절기
- 입춘(立春) : 2월 4일, 봄의 시작
- 우수(雨水): 2월 18일 , 눈이 녹:기 시작하는 날
- 경칩(驚蟄): 3월 5일(혹은 6일),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는 날
- 춘분(春分): 3월 20일, 낮의 길이가 밤보다 길어지기 시작하는 날
- 청명(淸明): 4월 4일, 봄의 날씨가 가장 좋은 날
- 곡우(穀雨): 4월 20일, 봄비가 내리는 날
2. 여름의 절기
- 입하(立夏): 5월 5일, 여름의 시작
- 소만(小滿): 5월 21일, 볕이 잘 드는 날.
- 망종(芒種) : 6월 5일, 곡식의 씨앗을 뿌리는 날.
- 하지(夏至) : 6월 21일, 1년 중 낮이 가장 긴 날.
- 소서(小暑): 7월 7일, 본격적으로 더위가 시작되는 날.
- 대서(大暑): 7월 22일 ,1년 중 가장 더운 날.
3. 가을의 절기
- 입추(立秋) : 8월 7일, 가을의 시작.
- 처서(處暑) : 8월 23일, 가을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날.
- 백로(白露) : 9월 7일,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날.
- 추분(秋分) : 9월 22일, 밤의 길이가 낮보다 길어지는 시작하는 날.
- 한로(寒露) : 10월 8일, 찬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날.
- 상강(霜降) : 10월 23일, 서리가 내리기 시작하는 날.
4. 겨울의 절기
- 입동(立冬) : 11월 7일, 겨울의 시작.
- 소설(小雪) : 11월 22일, 눈이 내리기 시작하는 날.
- 대설(大雪) : 12월 7일, 1년 중 눈이 가장 많이 내리는 날.
- 동지(冬至) : 12월 21일, 1년 중 낮이 가장 짧은 날.
- 소한(小寒) : 1월5일, 1년 중 가장 추운 날.
- 대한(大寒) : 1월 20일, 1년 중 큰 추위.
5. 절기에 먹는 음식들
각 철에 나는 음식재료로 음식을 만들어 절기에 맞게 먹는 절식 풍속이 자연히 생겨나게 되었는데요, 대개 각 절기에 속해있는 날인 설날, 중화, 단오, 유두, 추석, 상달, 납일 등이 절기음식을 먹는 날입니다. 또 상원, 유두, 삼복, 동지 등에 먹는 음식은 잡귀를 쫓는다는 벽사의 의미를 갖는데요, 삼복에 먹는 음식은 보신을 위한 것이고, 입춘, 중삼, 중구 등에 먹는 음식은 계적의 생산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입춘음식★
겨울동안 보기 힘들었던 신선한 채소를 중심으로 햇나물 무침, 탕평채, 죽순나물, 죽순찜, 달래나물, 달래장, 냉이나물, 산갓 김치 등을 먹습니다.
★청명음식★
묵은 불을 끄고 새 불을 기다리는 동안 밥을 지을 수 없어 찬밥을 먹는다고 해서 붙은 명칭이 한식입니다. 이 무렵 장을 담그면 맛이 좋다고 하여 장을 담습니다.
★곡우음식★
나무에 물이 가장 많이 오르는 시기여서 깊은 산이나 명산으로 곡우물을 먹으러 가는 풍습이 있는데요, 주로 자작나무, 박달나무 등에 상처를 내서 나오는 물을 말합니다. 바다 근처에서는 조기가 살찌고 맛이 좋아져서 조깃국을 먹고, 봄 조개는 가을 낙지라는 말처럼 조개가 제일 맛날 때라고 합니다.
★입하음식★
입하무렵에는 쑥무리를 먹는 풍습이 있습니다.
★하지음식★
강원도지역에서는 햇감자를 쪄서 먹거나 감자전으로 부쳐 먹습니다.
★소서음식★
본격적으로 더워지면서 과일과 야채가 풍성해지는 시기이면서, 밀과 보리도 먹을 수 있으며 생선류는 민어가 제철입니다.
★처서음식★
여름이 지나고 선선한 가을을 맞이하는 시기로 논두렁이나 산소의 벌초를 하고 이에 곁들이는 음식을 먹습니다.
★추분음식★
호박고지, 박고지, 호박순, 고구마순, 산채 등을 말려 묵은 나물을 준비하고, 이 무렵은 버섯요리를 먹습니다.
★한로음식★
한로를 전후로 국화전을 부쳐먹고, 국화술을 담궈 먹습니다.
★입동음식★
그해 수확한 햇곡식으로 시루떡을 만들어 제사를 지내며 이웃과 나누어 먹었습니다.
댓글